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뉴스,동향

뉴스] (도표로 살펴보는) 미국 무역 적자 현황

by Nerim(느림미학) 2025. 4. 3.

2025년 4월 2일 월스트리트저널(WSJ) 기사(알라나 파이프, 드류 안-팜, 진 웨일런 공저) 내용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새롭게 발표한 전방위 관세 정책과 미국 무역적자의 현황을 도표(차트)와 살펴보는 내용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

 

1. 트럼프의 새로운 관세: 무역적자를 줄이겠다는 구상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전 세계에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10% 기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일부 ‘악성’ 무역상대로 규정된 국가에 대해선 더 높은 관세율). 이는 이미 3월에 시행된 25% 철강·알루미늄 관세 및 각종 품목별 고율관세에 더해, 미국의 무역적자를 크게 줄이겠다는 의지로 풀이됩니다.

  • 중국: 기존 45% 정도의 품목별 고율 관세 위에 10%가 추가로 겹치면서, 실질 관세율이 최대 54%가량에 이를 전망
  • 캐나다·멕시코: 한편 USMCA(옛 나프타) 동맹국들은 ‘호혜 관세(Reciprocal Tariffs)’에서는 제외됐으나, 이미 25% 철강·알루미늄 관세가 적용 중인 상태

미국 무역 수지
U.S Trade balance

 

2. 왜 무역적자가 문제인가? 무역수지 기본 개념

  • 무역수지(Trade Balance): 수출(Exports)과 수입(Imports)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 무역적자(Deficit): 수입 > 수출
    • 무역흑자(Surplus): 수출 > 수입
  • 미국은 상품(굿즈·Goods) 부문에서 상당한 적자를 보지만, 서비스(Services) 부문에선 큰 흑자를 냅니다(예: 금융·컨설팅·소프트웨어).
  • 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상품 무역적자를 “미국 제조업 약화”의 근본 원인이라 보고 있으며, 관세로 해외 수입을 줄여 ‘해외 생산→미국 국내 생산 회귀’를 이끌겠다는 생각입니다.

미국 상품 무역 가치
Value of U.S. goods trade in 2024, by partner

3. 주요 적자 상대국: 중국·멕시코·캐나다·유럽연합

아래는 2024년 기준으로, 미국이 어떤 국가(또는 지역)와 큰 무역 적자를 기록했는지 요약한 부분입니다:

  1. 중국
    • 가장 큰 적자 상대국. 2024년 기준,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에서 약 2,356억 달러 적자를 봄(WSJ 추산).
    • 전자제품, 기계, 의류 등 광범위한 소비재를 수입.
  2. 멕시코
    • 나프타(현 USMCA)를 통해 자동차·가전·부품 등의 교역이 활발.
    • 2024년 기준 약 1,718억 달러 적자.
  3. 캐나다
    • 전통적으로 무역규모가 큰 동맹국이지만, 에너지·농산물·자동차 부품 교역에서 적지 않은 적자가 발생해 총 약 642억 달러 적자.
  4. 유럽연합(EU)
    • 독일·프랑스·이탈리아 등을 포함해 전체로 보면 약 2,954억 달러 적자를 기록.
    • 자동차, 기계류, 약품 등 고부가가치 상품이 많아, 미국과의 무역균형이 EU 쪽에 유리.

Value of goods in 2024 by U.S trading partners
Value of goods in 2024 by U.S trading partners (in Billions)

4. 어떤 상품이 주로 적자를 유발하나?

  1. 차량·부품(Vehicles, Parts)
    • 멕시코, 일본, 독일, 캐나다, 한국에서 생산된 자동차가 대거 수입되며, 매년 수천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
    • 트럼프가 “미국산 차량 구매 장려”를 강조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2. 전기·전자제품
    • 스마트폰·TV·컴퓨터 등 중국·베트남 등을 통한 아시아산 수입이 많으며, 미국 기업은 대체로 설계·서비스에 집중하고 생산은 아웃소싱하는 구조가 일반화.
  3. 의류·생활소비재
    • 저렴한 생산비를 찾아 동남아·중국에서 제조해 미국으로 들여오는 패턴이 정착.

5. 왜 서비스는 흑자인가?

  • 미국 금융·IT·컨설팅·엔터테인먼트 등 서비스업이 매우 발달해, 매년 2,500억~3,000억 달러대 서비스무역 흑자 기록.
  • 그러나 제조업 일자리 보호를 강조하는 트럼프 대통령은 서비스 흑자가 국민 체감효과가 낮다고 보고, ‘실물재(상품) 무역적자 해소’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6. 상호 관세 정책, 실제로 적자 줄일 수 있을까?

전문가들은 아래와 같은 우려·지적을 합니다:

  1. 글로벌 공급망 재편
    • 당장은 관세로 수입 감소가 가능하나, 미국 내 생산 역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단가(가격) 상승으로 소비자 비용만 늘어날 위험.
  2. 보복 관세, 수출 감소
    • 상대국 보복 관세가 늘면, 미국 수출(특히 농산물·제트기·IT서비스)에 타격이 오히려 커져서 적자 폭이 쉽게 줄지 않을 수 있음.
  3. 달러 가치, 경제 구조 영향
    • 무역적자는 소비 패턴, 저축률, 환율 등 거시 요인이 크게 작용. 단순 관세만으론 근본적 구조를 바꾸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결론

트럼프 대통령은 거대한 무역적자를 근거로 다수 국가(중국·멕시코·캐나다·EU 등)에 보편적 관세(10% 기본, ‘악성’ 국가 최대 54%)를 발표했습니다. 표면적 목표는 “미국 제조업 부활 및 무역균형 회복”이지만, 보복관세와 공급망 교란으로 실제 적자가 얼마나 줄어들지는 미지수입니다. 소비자·기업 부담 증가가 불가피하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관련 기사]

The Wall Street Journal, Alana Pipe, Drew An-Pham, Jeanne Whalen, “What to Know About the U.S. Trade Imbalance, in Charts,” 2025년 4월 2일

 

(투자 유의사항)

본 글은 특정 종목이나 자산 매수·매도를 권유하지 않으며,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