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석 아카데미 유튜브 채널의 “[속보효] 블랙먼데이, 도대체 이유가 뭐야?” 영상의 내용을 블로그로 정리한 것입니다. 주식시장 폭락 이유와 전망, 투자자들의 심리 등을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1. 주식 시장 급락, ‘블랙 먼데이’ 상황
1.1 전 세계 신흥국 주가 폭락
- 코스피·코스닥: 2024년 연초부터 소폭 상승세를 보이다가, 현재(영상 시점) 연초 대비 마이너스로 돌아섬.
- 아시아 시장 전반: 일본 닛케이(-6.8%), 상해종합(-7%), 홍콩 항셍(-12%) 등 폭락세가 두드러짐.
- 왜 신흥국이 더 타격이 큰가?
- 선진국 수요 부진 → 수출 의존도가 높은 신흥국이 타격
- 유동 자금이 비교적 안전한 선진국으로 이동, 신흥국 자금 이탈 가속화
1.2 트럼프 관세 정책, 불확실성 증폭
- 관세 전면전: 트럼프 행정부가 예상보다 훨씬 강력한 관세를 부과하며 무역 갈등 심화
- 글로벌 소비·공급망 충격: 신흥국 제조 수출 타격 우려, 전체 심리 위축
2. 경기 침체 우려 vs. 심리 지표
2.1 경제 심리와 실제 지표 괴리
- 소프트 데이터(심리): ‘경제가 나빠질 것’이라는 인식이 급격히 퍼짐.
- 하드 데이터(실제 지표): 아직 극단적인 하락은 아니지만, 심리가 계속 안 좋아지면 실제 지표도 하락할 가능성.
2.2 미국 가계 부채 & 증시 참여 비중
- 1945년 이후 최고치: 미국 가계의 주식 비중이 매우 높아 주가 하락 시 타격이 크다는 분석.
- 중산층·부자들도 위축: 기존에는 “부자는 괜찮을 것”이라 봤으나, 최근 조사에서 부자들도 소비 심리가 빠르게 냉각.
2.3 경기 침체 가능성
- 골드만삭스: 침체 확률 45% 제시
- JP모건: 침체 확률 60% 제시
- 종합: 시장에선 경기 침체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판단.
3. ‘마진콜’ 우려 & 대형 투자자 경고
3.1 연쇄적 매도(마진콜) 공포
- 매도 → 더 큰 매도 → 가격 하락의 악순환
- 투자자들이 패닉에 빠져 ‘가격 무관’ 매도까지 나올 가능성이 제기.
3.2 전설적 투자자들의 입장
- 드러크밀러( 30년간 연평균 30%대 수익률을 올린 전설적 투자자) - 최근 SNS 글 중 “과도한 관세 정책·시장 변동성”에 대한 부정적 견해 표출
- 비크만: “이러다가 정말 다 죽는 거 아니냐”는 식의 심각한 우려 제기
4. 트럼프의 선택, 시장에 미치는 영향
- 주말 골프 소식: 시장은 트럼프가 강경 기조 완화나 관세 대폭 철회를 기대했으나, 별 다른 완화 조짐 없이 불확실성만 커짐.
- 정책 변화: 트럼프가 문제 해결 의지를 보이지 않을 경우, 글로벌 무역 갈등이 장기화될 가능성.
5. 결론: 대응 전략 & 주의사항
- 무리한 투자 자제
- 마진콜 리스크가 언급될 정도로 시장이 불안. 레버리지 투자 자제, 현금·안전자산 비중 점검.
- 시장 변동성 주시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중국·신흥국 경제 동향, 미국 소비 지표 계속 모니터링.
- 심리 vs. 실물지표 간 괴리 인식
- 심리가 나빠지면 결국 실물 지표도 하락 가능성 높음. 반등 기대보다 리스크 관리를 우선.
핵심 요약:
신흥국 증시 폭락: 미국·유럽 등 선진국과 다른 역동성, 가계·투자 심리 위축으로 하락폭 큼
관세 전쟁: 트럼프 행정부 강공 → 경기 침체 확률 상승(골드만 45%, JP모건 60%)
마진콜 공포: 심리적 패닉 상태 → ‘매도가 매도를 부른다’는 악순환 우려
투자자 대응: 보수적 자산 배분, 뉴스·정책 동향 면밀 주시
관련 글]
2025.04.08 - [주식/주식 뉴스,동향] - 뉴스] 미국 주식 폭락이 전 세계로 퍼져...홍콩·유럽 “강타”
2025.04.07 - [주식/주식 뉴스,동향] - 뉴스] “달러 강세” 시대가 끝나간다면?
'주식 > 주식 뉴스,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중 무역전쟁, 미국과 중국의 비즈니스 규모 [뉴스] (0) | 2025.04.10 |
---|---|
미국과 중국 간 무역갈등 (트럼프 행정부 2기) [뉴스] (0) | 2025.04.09 |
미국 주식 폭락이 전 세계로 퍼져...홍콩·유럽 “강타” [뉴스] (0) | 2025.04.08 |
“달러 강세” 시대가 끝나간다면? [뉴스] (0) | 2025.04.07 |
트럼프 관세로 다우지수 1600포인트 하락, 달러 폭락 [뉴스] (0) | 2025.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