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뉴스,동향

뉴스] 월가, 트럼프가 소프트 랜딩을 망칠까 우려

by Nerim(느림미학) 2025. 3. 12.

2025년 3월 10일(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 닉 티미라오스(Nick Timiraos) 기사를 바탕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의도적으로 혹은 무심결에 경기 ‘연착륙(soft landing)’을 흔들 수 있다는 우려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

 

 

1. ‘연착륙’ 대신 ‘하드랜딩(Hard Landing)’ 가능성 부각

  1. 트럼프 행정부, 침체 가능성 경시?
    •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인터뷰에서 경기 침체(Recession) 여부에 대해 직접 언급을 피하면서도, “미국 경제가 큰 변화를 겪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고위 참모진 또한 “디톡스(detox) 과정”을 운운하며, 주식시장 급락이나 일시적 물가 상승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2. 월가(Wall Street)의 불안 고조
    • 그동안 Fed(연준)는 연착륙(Soft Landing), 즉 인플레이션을 잡으면서도 침체 없이 경기를 관리하려 노력해 왔으나,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인상, 대규모 정부 인력 감축, 무역 불확실성이 기업 투자·소비 심리에 찬물을 끼얹어, ‘하드랜딩’ 가능성이 커졌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습니다.

President Trump has sidestepped questions about whether a recession could lie ahead.  Photo: Win McNamee/Getty Images

 

2. 관세·정부 구조조정, 복합적 충격

  1. 관세로 인한 비용 상승 & 투자 둔화
    • 새롭게 부과된 관세가 수입 원자재·중간재 비용을 높여, 기업들의 투자 계획을 보류시키고 있습니다.
    • 시장이 예상하지 못한 수준의 관세 정책(때로는 예외나 철회 없이 시행)으로, 공급망 재편에 따른 ‘투자 중단’이 현실화될 위험이 높아졌습니다.
  2. 정부 구조조정 & 고용시장 영향
    •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연방 정부 인력 감축이 민간 고용시장에 미묘한 파급을 줄 수 있습니다.
    • ‘민간이 흡수할 것’이라 낙관하지만, 당장 관세 이슈로 기업들이 투자·고용을 줄이면, 정부 부문 출신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찾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3. ‘소비·투자 심리’가 정책 불확실성에 직격탄

  1. 불투명한 정책 일관성
    • 과거 행정부(트럼프 1기)에서는 관세 정책을 강하게 추진하더라도, 내부에서 ‘조율’이 있었다는 평이 많았습니다.
    • 지금은 그러한 완충 장치(“Gary Cohn 역할”)가 사라졌고, 대통령의 관세·무역 관련 발언이 직접적으로 정책화되는 양상이라 시장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2. 인플레이션·임금 압박 vs. 경기 둔화
    •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이 예고되면, 연준이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 인하를 망설이게 됩니다.
    • 동시에, 관세로 인해 기업들의 실적이 악화되고 고용이 줄어들면, 경기가 둔화되는 ‘부정적 피드백 루프’가 발생할 수 있어 위험합니다.

4. 월가의 반응: “하드랜딩 리스크 상승”

  1. 증권사 경제 전망 하향
    • 골드만삭스(Goldman Sachs)는 12개월 내 미국 경기 침체 확률을 기존 15%에서 20%로 올렸고,
    • JPMorgan Chase도 무역 리스크(‘극단적 U.S. 정책’)를 이유로 침체 확률을 40%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2. ‘시장 설득’ 대신 ‘정책 강행’ 우려
    •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경기가 나빠져도 트럼프 행정부가 정책 노선을 바꾸기보다, Fed를 향해 금리 인하 압박을 가하거나 더 극단적인 관세를 사용할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 이 경우, 시장 변동성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것이 시장의 대체적인 시각입니다.

5. 결론: 연방 정부와 시장 간 ‘불협화음’, 투자자 신중 모드

  • 트럼프 행정부는 “단기 고통”을 감수하더라도, 관세 정책 및 대규모 구조조정을 통해 “근본적 체질 개선”을 이룬다는 입장이지만,
  • 월가는 “즉각적 투자·소비 위축과 불확실성 증가가 경기 침체를 초래할 수 있다”며 심각히 경고하고 있습니다.
  • 투자자들은 정책 추진 상황, 연준(Fed) 반응, **경제 지표(고용, 물가, 기업이익 등)**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며, 변동성에 대비해야 할 시점이라는 데 대체로 의견이 모아집니다.

 

관련기사] 

The Wall Street Journal, Nick Timiraos, “Wall Street Fears Trump Will Wreck the Soft Landing,”, 2025년 3월 10일

 

(투자 유의사항)

본 글은 특정 종목 혹은 자산의 매수·매도 권유가 아니며, 시장 상황과 개인 투자 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