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3일자 월스트리트저널(WSJ) “South Korean Think Tank Halves 2025 Growth Forecast" 기사 내용입니다.
2025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이 반 토막 났습니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한국 GDP 성장률 전망치를 0.8%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불과 석 달 전인 2월 전망(1.6%)에서 절반 수준으로 급감한 것입니다.
1. 왜 이렇게 낮아졌나?
📌 핵심 이유: 미국의 고율 관세
- 트럼프 행정부는 2025년 4월부터 전 세계 수입품에 고율 관세를 적용
- 특히 한국산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에 25% 관세 부과
- 일부는 90일 유예 중이나, 협상 결과에 따라 상시화 가능성 존재
🗣 KDI: “미국 관세 정책과 이에 대한 다른 국가들의 대응으로 무역 불확실성이 비정상적으로 높다”
2. 수출 전망은 더 암울하다
항목 | 2024년 추정치 | 2025년 전망치 |
GDP 성장률 | 2.0% | 0.8% ↓ |
수출 증가율 | 7.0% | 0.3% (!) ↓ |
- 수출 증가율이 7.0% → 0.3%로 사실상 정체 수준
- 관세에 따른 글로벌 수요 위축 + 공급망 불안정 반영
3. 정부 대응: 中企에 4,000억 원 추가 지원
한국 정부는 관세 충격을 받는 중소기업들을 위해
5월 13일 4,000억 원(약 2억8천만 달러) 규모 추가 금융지원을 발표했습니다.
- 이는 4월부터 이어진 수조 원대 산업 대응 패키지의 일환
- 고율 관세에 직접 타격을 받는 자동차 부품, 철강, 전자기기 업체 대상
4. 그 외 경제 전망
항목 | 2월 전망 | 5월 수정 전망 |
2025년 인플레이션 | 1.6% | 1.7% (소폭 상향) |
- 관세 → 수입물가 상승 → 국내 인플레 압력 작용
- 그러나 내수 회복세가 약해, 물가 급등은 제한적으로 예상
5. 향후 관전 포인트
변수 | 영향 |
한·미 관세 협상 결과 | 자동차·철강 업계 회복 여부 결정 |
미국 내 소비 및 수요 회복 여부 | 수출 반등 가능성 판단 기준 |
국내 추가 경기부양책 | 성장률 방어선 확보 여부 |
글로벌 수출국 대응 | 한국 수출 품목의 대체 우려 증가 가능성 |
📉 이미 중국·일본·유럽 경쟁국들은 미국향 수출을 낮추고 내수 중심 전략 전환 중
✅ 결론: 성장률 하향 조정은 현실 반영… 관세 리스크는 ‘현재진행형’
KDI의 2025년 성장률 전망 하향은 한국 경제가 글로벌 관세 리스크에 직접 노출돼 있다는 현실을 반영합니다. 단순히 수출 감소에 그치지 않고, 중소기업 자금난, 공급망 왜곡, 소비 심리 위축까지 파급 효과가 예상됩니다.
트럼프 2기 관세 정책의 향방과 정부의 신속한 대응 정책이 향후 2025년 한국 경제의 흐름을 결정할 중대한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관련 기사]
The Wall Street Journal, Kwanwoo Jun, “South Korean Think Tank Halves 2025 Growth Forecast” 2025년 5월 13일.
(투자 유의사항)
본 글은 특정 종목의 매수·매도를 권유하지 않으며, 시장 상황과 개인 투자 성향에 따라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주식 > 주식 뉴스,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 주식은 비싼 걸까? 주요 밸류에이션 지표로 직접 확인해보자 (0) | 2025.05.19 |
---|---|
일본 경제 1년 만에 마이너스 성장… 미 관세가 회복 발목 잡나? (0) | 2025.05.16 |
트럼프의 중국 합의는 타당. 그러나 결과에 이르게 된 배경은 그렇지 않다. (0) | 2025.05.14 |
트럼프 대중국 관세 완화, 나스닥 ‘랠리’! 그러나 월가는 여전히 신중 (0) | 2025.05.13 |
트럼프 관세 쇼크 이후, 美 국채시장 ‘불균형 신호’ (0) | 2025.05.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