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뉴스,동향

트럼프 경제정책 , 누가 대가를 치를 것인가 – 관세, 무역수지, 달러, 그리고 투자자 [뉴스]

by Nerim(느림미학) 2025. 4. 21.

2025년 4월 19일자 월스트리트저널(WSJ)  "Who Will Pay the Price for Trump’s Economic Goals?" 기사 내용으로, 트럼프 관세 정책이 미치는 영향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

1. 트럼프의 목표는 ‘무역적자 축소’와 ‘제조업 부활’

  1. 관세 정책의 핵심 목표는 명확
    •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추진 중인 경제정책은 “무역적자 축소”와 “제조업 투자 유도” 두 가지입니다.
    • 그러나 무역수지와 자본수지(외국 자금 유입)는 반드시 균형을 이뤄야 하는 쌍둥이 계정입니다.
  2. 적자 줄이면, 자금 유입도 줄어든다
    • 미국이 오랜 기간 수입 > 수출 상태(=무역적자)를 유지할 수 있었던 건, 해외 투자자들이 미국 자산(주식, 국채 등)을 사줬기 때문.
    • 무역적자를 줄이게 되면 외국 자금 유입도 감소 → 금리 상승·주가 하락 압력 발생 가능.

Americans have long imported more than they export.   Photo: Kyle Grillot/Bloomberg News

2. 트럼프 정책의 4가지 파급 효과

① 소비 감소 & 물가 상승

  • 관세는 실질적인 세금 인상 효과 → 수입품 가격 상승 → 소비 위축 + 선택지 축소
  • 자국 내 저축률을 높여야 한다는 구조는 결국 가계 소비 감소로 이어짐

② 금리 상승

  • 외국 자본이 덜 들어오면 국채·회사채 수요 감소 → 금리 상승 필요
  • 기업들은 더 높은 비용으로 자금을 조달해야 하며, 주가에도 부정적

③ 주가 하락

  • 미국 자산 매입이 줄어들면 주식시장 수요도 감소
  • 제조업 FDI(직접투자)가 일부 들어오더라도, 주식이나 채권 매입 감소를 상쇄하긴 어려움

④ 달러 약세

  • 자국 저축이 부족한데 외국 자금도 빠지면, 달러 가치는 자연스럽게 하락
  • 특히 최근엔 미국 자산의 정치적 리스크(관세, 연준 독립성, 외교 불확실성) 제기되며, 안전자산으로서의 매력 감소

3. “낮은 생산성 산업으로 회귀는 성장 역행”

  • 트럼프는 제조업 일자리 복원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있음.
  • 하지만 과거 미국의 기술·서비스 중심 고부가가치 성장 모델에서, 저임금·저생산성 산업(봉제, 단순조립 등)으로의 회귀는 성장률 하락, 통화 약세로 이어질 수 있음.
  • 트럼프는 방글라데시·캄보디아 등 국가에 37%~49% 관세를 부과하며, 섬유·신발 등 일자리를 되찾겠다고 하나, 결국 비효율적 구조로의 회귀라는 비판 존재.

4. “균형발전” 가능한가? 가능성은 낮다

  •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는 해외 수요 증가로 미국 수출 증가 → 무역적자 축소 → 자본 유입 유지 → 금리·주가 안정
  • 하지만 미국의 관세와 외교적 강경노선으로 인해 독일, 중국 등 교역 상대국이 미국 제품을 더 사줄 가능성은 희박
  • 오히려 이들 국가는 소비 확대보단 내부 불신 확대와 “탈미국화”를 선택할 수도 있음

5. 결론: 목표는 선의지만, 대가는 투자자와 소비자가 부담할 수 있다

  • 트럼프의 관세는 명목상 제조업 보호지만, 궁극적으로 소비 감소·투자 위축·금리 상승·달러 약세 등 전반적인 자산시장 디스카운트 요인이 복합적으로 발생
  • 서비스업 강국으로 자리 잡은 미국이 저생산성 제조업 중심 체제로 회귀하면, 장기적 경쟁력과 기술 리더십도 흔들릴 수 있음
  • 투자자 입장에선 “트럼프 목표 실현” 가능성보다는, 거시경제 리스크 관리와 해외 분산투자 필요성을 더 주목해야 할 시점

📌 투자자 체크포인트

  • 국채금리 상승 시 리스크자산 민감도 확인
  • 환율(달러 인덱스) 추세 모니터링
  • 해외 수출 기업 실적 및 FDI(직접투자) 흐름
  • 제조업 관련 정책 인센티브 및 투자 대응

 

관련 기사]

The Wall Street Journal, James Mackintosh, “Who Will Pay the Price for Trump’s Economic Goals?”,  2025년 4월 19일

 

(투자 유의사항)

본 글은 특정 금융 상품의 매수·매도를 권유하는 것이 아니며, 시장 상황과 투자 성향을 고려한 정보 전달 목적입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2025.04.18 - [주식/주식 뉴스,동향] - 뉴스] 다우지수 하락, 월가의 또 다른 힘든 한 주 마무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