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뉴스,동향

뉴스] [넷플릭스 실적 분석] 트럼프 관세 전쟁에도 ‘웃은’ 이유는?

by Nerim(느림미학) 2025. 4. 19.

2025년 4월 18일자 월스트리트저널(WSJ) 〈Now Streaming on Netflix: A Show Where Profits Trump the Trade War〉 기사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

 

1. 트럼프 관세 직격탄 비켜간 넷플릭스

  1. 전자제품 제외 조치 덕분에 무풍지대
    • 트럼프 대통령이 4월 초 발표한 전방위 관세 중 스마트폰·노트북 등 전자기기 관세 유예 대상에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는 해당 없음.
    • 넷플릭스는 실질적인 물류·수입 구조가 없는 디지털 상품으로, 현재까지는 무역전쟁과 무관하게 수익성 유지 중.
  2. 1분기 실적, 시장 기대 상회
    • 매출 및 이익 모두 컨센서스를 초과하며, 넷플릭스는 2025년 연간 가이던스(영업이익률 29%)를 그대로 유지.
    • 최근 수주간 변동성 장세 속에서도 넷플릭스는 월간 기준 S&P500 대비 +20%p 이상 아웃퍼폼.

Illustration:  ELENA SCOTTI/WSJ, ISTOCK

2. 주가·실적 주요 데이터

지표 결과 컨센서스 대비 YoY
매출 114.2억 달러 상회 +13%
EPS $5.23 상회 +18%
1H25 영업이익률 약 33% 예상 이상 +4%p
연간 가이던스 29% 유지 보수적 해석 가능
  • 주가: 실적 발표 후 장외에서 4% 이상 상승
  • 연초 대비 주가: +23.7% (4월 17일 기준)

3. 넷플릭스는 왜 시장의 관심을 받는가?

  1. 트럼프 관세에 영향 없고, 소비자 지출 유지
    • 소비심리가 흔들리는 가운데도 넷플릭스는 저가 월정액 구조로 이용자 이탈 적음.
    • Co-CEO 그렉 피터스 “체감되는 이상징후 없다”고 언급 → 실물 경제 둔화에 비해 안정된 모습.
  2. 구독 + 광고 이중 구조 확장 중
    • 광고 요금제(AVOD) 이용자 확장, 광고 수익 실적 반영은 하반기부터 본격화될 전망.
    • 광고 기반 콘텐츠 소비 증가로 성장 여력 + 소비자 유입 확대 효과 기대.

4. 주가 밸류에이션 및 투자자 전략

기업 주가수익배수(PER, Forward) 특이사항
넷플릭스 약 28배 S&P500 평균보다 높음, 하지만 실적 대비 정당화 가능
삼성전자 14배 이하 하드웨어 업체와는 구조적으로 차별화
메타, 구글, 아마존 등 20~30배대 기술주는 전반적으로 압박 받는 중
  • 넷플릭스는 광고·해외 시장 확장, 콘텐츠 IP 확대 등으로 ‘방어적 성장주’ 포지션 부상.
  • 다만, 콘텐츠 비용이 증가할 하반기엔 마진 압박 + 환율 영향에 따라 리스크 재평가 필요.

5. 향후 체크포인트

  • AVOD 성장 속도: 광고 단가 상승 vs. 사용자 이탈 여부
  • 환율·달러 강세 리스크: 해외 매출 비중 60% 이상
  • AI·게임 등 비핵심 영역 확장 효과
  • 경기 침체 시 스트리밍 해지율(Churn Rate) 변화
  • 신규 콘텐츠 제작비 상승 → 하반기 마진 반영 여부

결론

넷플릭스는 관세 영향이 없는 드문 ‘디지털 소비재’로, 2025년 들어 변동성 장세 속에서도 돋보이는 실적 안정성을 입증했습니다. 특히 구독 기반 수익에 더해 광고 수익(AVOD) 성장 기대가 이어지며, 경기둔화 속에서도 ‘프리미엄 디펜시브’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반기 콘텐츠 투자 확대, 광고 경쟁 격화, 마진 리스크 등은 계속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넷플릭스는 지금의 ‘고요한 섬’처럼 보일 수 있지만, 콘텐츠와 가격 전략이 흔들릴 경우 다시 파도에 흔들릴 수 있다는 점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관련 기사]

The Wall Street Journal, Dan Gallagher, “Now Streaming on Netflix: A Show Where Profits Trump the Trade War,”  2025년 4월 18일

 

(투자 유의사항)

본 글은 특정 종목 매수·매도를 권유하지 않으며, 투자 판단은 본인 책임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