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파트2

서울시가 발표한 주택공급 계획과 아파트 입주물량 전망 서울시 발표, 주택 공급 계획 및 아파트 입주 물량 전망 1. 2026년까지 서울 시내 아파트 7만1천 호 공급 예정2025년: 4만7천 호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 등) 3만2천 호비정비사업(장기전세·청년안심주택 등) 1만5천 호2026년: 2만4천 호정비사업 1만3천 호비정비사업 1만1천 호최근 2년(‘23~’24년) 입주물량 6만9천 호보다 많은 수준으로, 주택시장 안정을 유도하기 위한 물량 확보에 주력.2. 2025년 동남권 집중 공급2025년 4만7천 호 중 약 30.9%(1.4만 호)가 강남·서초·송파·강동 등 동남권에 집중주요 단지 예시메이플자이(신반포4지구, 6월 입주) 3,307호잠실래미안아이파크(진주, 12월 입주) 2,678호잠실르엘(미성크로바, 12월 입주) 1,865호청담르엘(청담삼익.. 2025. 3. 18.
2024년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전망 2023년 연말 부동산 시장 현황 전국 아파트 매물 작년 연말 대비 37.4%↑ 거래량 3만 5454건, 연초 수준으로 집값 하락세 완연 매물 늘고 있고, 거래량은 줄어들며,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들이 많이 보입니다. 이렇게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고 있는 이유로는 지속되고 있는 높은 금리, 경기 침체, 빠르게 반등한 부동산 가격, 정부의 대출 정책 (특례보금자리론,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소진 등의 이유를 들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기준으로 2023년 11월 넷째 주(11월 27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01% 하락했습니다. 전국 집값 상승세는 23주 만에 하락 전환했으며, 서울 아파트값도 28주 만에 상승세를 멈췄습니다. 행크 TV 월간 전망 영상에서도.. 2023. 12. 7.